한글이 깨지는 이유 서버에서 웹 문서를 전송할 때,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인코딩 방식을 사용할 경우 서버에서는 올바르게 인코딩 하였으나 브라우저가 다른 인코딩 방식으로 해석한 경우 2번같은 경우는 브라우저가 문서를 받았을 때 해당 문서가 어떠한 방식의 인코딩을 사용하였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브라우저가 자의적으로 해석하였기 때문이다. 따라서 페이지의 인코딩 방식과 패킷 헤더에 해당 인코딩 방식을 명시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해결방법으로는 몇 가지가 있는데 첫번쨰로는 인코딩 방식을 web.xml파일에서 지정해줄 수 있다. 하지만 일반적으로 하나의 웹 서버는 다수의 페이지가 공유하기 때문에 서버 설정파일은 잘 건드리지 않는다. 두 번째로는 각각의 페이지마다 인코딩 방식을 정해주는 것이다. respo..